학술지 소개
2008년 창간된 <해양유산연구(구 해양문화재)>는 해양역사문화, 수중유산, 발굴, 보존처리, 활용 등 해양유산 전반을 아우르는 학술지이며, 2021년 한국연구재단(KCI) 등재지로 선정되었습니다. 해양유산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, 연구 활성화를 위한 관련 분야 원고를 기다립니다.
-
모집원고기획논문, 일반논문, 연구노트, 특별기고, 리뷰, 해제, 번역 등
모집분야- 해양유산 및 수중유산 논문 및 연구노트
- 역사학, 수중고고학, 박물관학, 민속학, 인류학, 도자사 미술사, 보존과학, 조선공학 등
모집기간상시모집
원고방법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(JAMS) 접속, 회원가입 후 이용
* 논문 심사비·게재료 무료, 원고게재 확정시 최대 150만원 이내 원고료 지급
문의처- 김애경(061-270-2083, sabina21@korea.kr)
- 이윤원(061-270-2090, db2090@korea.kr)
※ 투고 후 반드시 담당자에게 확인전화 부탁드립니다.
- ▪︎ 기후대응 균형발전 모델: 전남 서남권 사례 (이민원, 광주대학교)
- ▪︎ 문화유산의 재구성: 적극적인 보호와 자연권을 향하여 (신상원 SOAS, University of London)
- ▪︎ 임자도의 새로운 ‘장소성’으로서 의미와 개발 방향 -조희룡의 유배지를 중심으로- (김미령, 조선대학교)
- ▪︎ 한국 전통선박의 철정(鐵釘) 사용에 대한 고찰 (최유리, 국립해양유산연구소)
- ▪︎ 15세기 서남해 지역 수적(水賊) 출현의 사회적 배경과 활동 (류인우, 국립공주대학교)
- ▪︎ 16세기 전남의 매향활동 -‘무안남촌매향비’를 중심으로- (문재규, 국립해양유산연구소)
- ▪︎ 전남 서남해 도서지역의 유적 분포양상과 제주도 해로
(조진선, 전남대학교·기준영, 호남문화재연구원)
- ▪︎ 1123년 송(宋)의 대고려(對高麗) 사신단(使臣團) 파견의 실상과 의의- ‘거대 외교프로젝트’의 관점에서 -
(강봉룡, 국립목포대학교)
- ▪︎ 「당선지도(唐船之図)」를 통해 본 『고려도경(高麗圖經)』 속신주(神舟)·객주(客舟)의 크기와 구조
(문경호, 국립공주대학교)
- ▪︎ 『고려도경(高麗圖經)』에 기록된 송(宋)의 신주(神舟) 파견과 그 의미(이종봉, 부산대학교)
- ▪︎ 철필등사본(鐵筆謄寫本) 『고려도경』의 의의(강민경, 국립제주박물관)
- ▪︎ 『고려도경(高麗圖經)』 군산도(群山島) 송(宋) 사신 영접 공간과 의례(진호신, 국립해양유산연구소)
- ▪︎ 1123년 『선화봉사고려도경』 바닷길 재탐구- 정해→협계산 간 항로를 중심으로 -(김경미, 전주대학교)
- ▪︎ 북송 중기 건요흑유완(建窯黑釉碗)의 부상(浮上)과 채양(蔡襄)(이희관, 독립학자)
- ▪︎ 18~19세기 전라좌수영의 무기체계와 수조실태(송길상, 충청남도청)
- ▪︎ 조선후기 홍주목 부속 도서의 행정편제와 설진(設鎭)·설군(設郡)-도서민의 세역(稅役) 부담을 중심으로-
(문광균, 충청남도문화재위원회)
- ▪︎ 전남지역 ‘-치기’형 어로(漁撈)와 경험 지식-‘훌치기’, ‘가리치기’, ‘여치기’를 대상으로-(박종오, 전남대학교)
- ▪︎ 금(金) 중도(中都) 부의방(富義坊)유적 출토 고려청자 및 관련문제(리융창, 북경시고고연구원)
- ▪︎ 고려시대 편호(扁壺)의 성격과 재질 간의 관계 (김나연, 이화여자대학교)
- ▪︎ 고려도기DB의 학습 교재화를 통한 초등교육 활용방안 연구(김솔, 도농초등학교)
- ▪︎ 마도선 출수 시유도기의 생산지 분석 연구
(이수진-국립공주대학교 , 박예리-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, 김규호-국립공주대학교)
- ▪︎ 규슈(九州) 류큐(琉球)열도 출토 고려도기(主稅英德, 일본 류큐대학)
- ▪︎ 조선후기 문헌을 통해 본 전라도 법성창의 실상(문광균, 충남역사문화원)
- ▪︎ 공민왕~우왕 시기 고려의 대명 외교와 사행로 변화(문경호, 국립공주대학교)
- ▪︎ 『고려도경』을 통해 본 가거도-고군산군도 구간 항로(강원춘,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『고려도경(高麗圖經)』 마도(馬島) 안흥정(安興亭)의 위치와 공간구조(진호신,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통일신라~고려시대 흑산도 ‘읍동포구’의 ‘국제항’적 면모(강봉룡, 국립목포대학교)
- ▪︎ 고려초기 나주선 구조 및 성격에 관한 연구(홍순재,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고려말~조선전기 수군(水軍)의 창설과 경기지역 수군진(水軍鎭)의 특성(남호현, 공군사관학교)
- ▪︎ 강진(康津) 사당리요지(沙堂里窯址) 신발견 만두요(饅頭窯)와 그 수용 및 계통 문제(이희관, 독립학자)
- ▪︎ 마도 출수 묵서명 중국 도자기에 적힌‘강(綱)’의 의미 고찰(박은영,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자연과학적 분석을 활용한 마도선 출수 시유도기의 유형 분석 연구
(이수진 국립공주대학교, 박예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, 김규호 국립공주대학교)
- ▪︎ 『고려도경』 권35, 「해도2」권36, 「해도3」편의 교감과 역주(안주영, 왕야오, 이진한 고려대학교)
- ▪︎ 선도소설(仙道小說)의 바다 상상 - 조여적의 『청학집』 다시 읽기(양승목, 동국대)
- ▪︎ 바다 밖 존재에 대한 상상 -『태원지』에 재현된 타자(김선현, 숙명여대)
- ▪︎ 『어우야담』속 바다 형상 - 상상과 현실의 넘나듦(이승은, 고려대)
- ▪︎ 생태론적 상상력으로 본 바다 관련 설화연구 - 『한국구비문학대계』를 대상으로(강지연, 서원대)
- ▪︎ 소파 오효원의 한시에 나타난 바다 이미지(임보연, 대진대)
- ▪︎ 방조제와 간척지, 그리고 사라진 포구와 갯벌의 기억- 서산 대호방조제, 천수만방조제 조성 지역을 중심으로
(서유석, 경상국립대)
- ▪︎ 전남지역 ‘짱뚱어’ 강어로(江漁撈) 문화 고찰 - ‘영산강’과 ‘탐진강’ 사례를 중심으로 (박종오, 전남대)
- ▪︎ 태안 양잠리 조간대 출토 마루장식기와 연구 - 취두, 잡상을 중심으로(양기홍,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통일신라기 선박구조 이해 - 월지배와 영흥도선 선체 구조 연구(허문녕, 윤용희,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일본의 화원이 남긴 정사(正使) 기선(騎船)의 구조 연구 - 10~11차 사행 정사(正使) 기선(騎船)을 중심으로
(홍순재,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18~19세기 목포진의 역할과 서남해 수군 네트워크(정세훈, 목포대)
- ▪︎ 일본 열도의 문화를 지탱한 배(KON Masaaki, 일본 가나가와대학교)
- ▪︎ 중국 내 섬에 대한 인식과 정책의 변화(NING Bo, 중국 상해해양대학교)
- ▪︎ 금(金) 중도(中都) 동개양방(東開陽坊)유적 출토 고려청자(李永强·王繼紅, 중국 북경시고고연구소)
- ▪︎ 함세덕의 독서체험과 바다 소재 희곡에 대한 일고찰 - 이상우(고려대학교)
- ▪︎ 바다의 경계 확장과 의미 변화 연구 - 김태희(고려대학교)
- ▪︎ TV 로맨스 드라마와 바다: 치유와 회복의 공간 - 문선영(한국공학대학교)
- ▪︎ 부산 바다의 영화적 형상화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- 김남석(부경대학교)
- ▪︎ 바다 공간과 뮤지컬 형상화 연구 - 정명문(한양대학교)
- ▪︎ 조선 전·후기 섬에 대한 인식 및 정책 변화 양상 - 임학성(인하대학교)
- ▪︎ 인류세의 섬 무형문화유산과 뉴노멀 탐색 - 이경엽(목포대학교)
- ▪︎ 섬 문화유산 현지조사의 가치와 활용 - 김애경(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태안 마도 해역 출수 ‘시루밑’의 복원적 고찰 - 김지현(동국대학교)
- ▪︎ 태안 신진도 고가(古家) 발견 유물의 종류와 성격 - 진호신(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조선후기 충청수영 우후의 조운선 점검과 원산별장진의 설치 - 문광균(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)
- ▪︎ 고대 동아시아 해양기술을 통해 바라본 백제 한성기 항해술과 조선술 - 임동민(안양시청)
- ▪︎ 안흥진 설진과 안면도 봉수로의 변천 - 박영익(운봉관방유적연구소), 신경직(충북대학교)
- ▪︎ 삼포왜란(三浦倭亂)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대일외교(對日外交) - 이향배(국립충남대학교)
- ▪︎ 「우해이어보(牛海異魚譜)」의 성격에 관한 재론(再論) - 김우정(단국대학교)
- ▪︎ 제주 유배 관련 최익현(崔益鉉)의 기록 자료 고찰 - 정만호(국립충남대학교)
- ▪︎ 운양(雲養) 김윤식(金允植)의 제주 유배일기 고찰 - 연민희(국립충남대학교)
- ▪︎ 묵오(黙吾) 이명우(李明宇)의 「울릉도기(鬱陵島記)」연구 - 이동재(국립공주대학교)
- ▪︎ 대한제국기 이세직(李世植)의 유배와 도주 - 이규춘(국립충남대학교)
- ▪︎ 종합적 유해생물관리(IPM)를 통한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 방제대책 연구 -김택준(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,
조현경(다물문화재보존분석센터), 김용선(비전문화유산)
- ▪︎ 서남해안 도서 민가 모방의 기원과 형식 연구 - 탁경백(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고려 침몰선 출수 목간의 제작과 작성에 대한 연구(1) - 신종국(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한국 고대 해양 교통로 연구의 성과와 과제 - 윤재운(대구대학교)
- ▪︎ 고려시대 해양실크로드 거점정과 수중발굴 - 김병근(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
- ▪︎ 15~18세기 베트남의 무역항과 해상교역 - MSc. Đinh Thị Lệ Huyền(베트남 국립역사박물관)
- ▪︎ 해남도(海南岛)와 주변해역에 대한 역사적 고찰 - 阎根齐(중국 하이난대학교)
- ▪︎ 14세기 무역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주변 항로의 성격 - Widya Nayati(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)
- ▪︎ 수중출수된 고선박의 구조와 목재수종의 변화 - 김응호, 홍순재, 김병근(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),
한규성(충북대학교)
- ▪︎ 기장 두모포진성에 대한 소고 - 이일갑[(재)시공문화재연구원]
- ▪︎ 임진왜란 시기 거제 진공작전의 경과와 의미 - 제장명(순천향대학교)
- ▪︎ 고려·몽고 연합군의 진도 삼별초 공략 과정 검토 - 김명진
- ▪︎ 진도 명량대첩로 해저 출수 특수기종의 생산지 문제 - 한정화
- ▪︎ 『고려도경』객주의 구조와 항로-협계산~군산도를 중심으로 - 강원춘
- ▪︎ 태안 신진도 고가(古家) 수군(水軍) 군적부(軍籍簿) 연구 - 진호신, 손태옥, 박상준
- ▪︎ 17~18세기 안흥진 운영의 제도화 과정과 한계 - 박범
- ▪︎ 태안 안흥진성의 역사적 위상과 가치 - 문경호
- ▪︎ 태안의 굴포유적 명칭 검토와 역사적 가치 - 문광균
- ▪︎ 주사전자현미경(SEM) 관찰을 통한 수침대나무 강화제 연구 - 윤용희, 차미영
- ▪︎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 수장고 실내공기질 시계열 변화 연구- 김서진, 김택준
- ▪︎ 경주 분황사탑의 오키나와산 조개-한국과 오키나와, 초기 교류사의 관점에서 - 윤용혁
- ▪︎ 고려시대 제주도의 기와 도입과 변화-삼별초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- 차순철, 이혜주
- ▪︎ 중국 송나라 해선 6겹 외판 조선기술의 발견과 연구 - 위안샤오춘
- ▪︎ 충청 수군營鎭과 연해郡縣의 船所 연구 - 김명래
- ▪︎ 태안 안흥량(安興梁) 일대 역사유적의 현황과 활용방안 - 진호신
- ▪︎ 조선통신사 정사기선에 관한 연구 - 홍순재
- ▪︎ 조선통신사선의 계류와 수리-1719년 大坂 尻無川의 사례 - 정성일
- ▪︎ 조선통신사선의 항해기록과 항해술 - 문경호
- ▪︎ 康津 沙堂里窯場 자器製作의 實狀과 特質 - 이호관
- ▪︎ 인천∙충청권역 출수 닻돌의 현황과 보존 관리 - 김택준
- ▪︎ 매생이 양식과 지속가능한 어업의 가치-장흥 옹암리 내저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- 이유리
- ▪︎ 케냐 출토 중국자기의 단계성 고찰 - 秦大树
- ▪︎ 해상실크로드의 아름다움과 애수:명대 도서 의제(島嶼 議題)의 관찰 - 황리셩
- ▪︎ 분장분청사기(粉粧粉靑沙器)의 일본 유입 경로에 관한 일시론(一試論) - 아라키 카즈노리
- ▪︎ 국립해양박물관 건립과정과 발전방안 - 이형기
- ▪︎ 장한종 어해도 소재의 생태학적 분석 및 장황 재구성 - 윤종균
- ▪︎ 신안침몰선 출수 기물 총고(叢考) - 양즈수이(揚之水)
- ▪︎ 원대 용천요의 요업상황과 동시기 침몰선 출수 용천요자기에 대한 고찰 - 신준
- ▪︎ 송일·원일 간 해상항로와 고려 도서지역 - 에노모토 와타루( 榎本 渉)
- ▪︎ 한반도 주변 도서 지역의 잠수어업에 대하여 - 고광민
- ▪︎ 조선시대 통신사선의 운용(運用)에 대한 연구 - 김주식
- ▪︎ 신안선 도자기 연구 40년과 쟁점 - 고미경
- ▪︎ 김경혁(金慶赫)의 위도진수군동첨절제사(蝟島鎭水軍同僉節制使) 해유문서(解由文書) - 김윤아
- ▪︎ 해양에서 출수된 고려시대 죽세공예품 - 장경희
- ▪︎ 마도와 오류리 출수 닻돌의 형태 분석 - 홍광희
- ▪︎ 수중발굴 동물유존체 연구방법론 고찰 - 태안 마도1∙2∙3호선 출수 동물유존체를 중심으로 - 고은별
- ▪︎ 고려 예종과 북송 휘종-12세기 초기의 고려청자와 여요 및 북송관요 - 이희관
- ▪︎ 인도네시아 벨리퉁 침몰선의 발굴과 연구 현황 - 주경미
- ▪︎ 해외의 북 베트남 무역도자기 - Ngo The Bach
- ▪︎ 고려로 유입된 중국 동전의 기능과 용도-원재료의 활용을 중심으로 - 임태경
- ▪︎ 수중 발굴을 통해 본 고려시대 금속제 생활용품 - 주경미
- ▪︎ 태안 마도3호선 출수 청동유물의 금속학적 연구 - 강승희
- ▪︎ 마도1호선 발굴선박 복원과 고려시대 조운선 - 강원춘
- ▪︎ 독거도 미역채취에 대한 어로민속지 - 이유리
- ▪︎ 난파선 출토 목제 조새 소고 - 곽유석
- ▪︎ 신안선 적재 자단목의 고찰 - 김병근
- ▪︎ 수중발굴 고선박 구조목편 연구 - 강원춘
- ▪︎ 전통나무닻의 생김새 연구 - 홍광희
- ▪︎ 목제 빗의 출토현황과 변천양상 - 이순엽
- ▪︎ 태안해역 출수 목간의 수종분석 - 차미영
- ▪︎ 위글매치를 이용한 태안 마도3호선 출수 목재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- 남태광
- ▪︎ 마도2호선 인양 청자매병의 특징과 성격 - 김태은
- ▪︎ 고려 침몰선 출수 도기호의 형식분류와 편년 - 신종국
- ▪︎ 마도1∙2호선 出水 고려시대 도기의 용도와 量制 - 한혜선
- ▪︎ 완도군 將島遺蹟 출토 越窯靑瓷의 제작시기 문제-고려청자 출현시기 문제의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접근 - 이희관
- ▪︎ 漂民對話의 조선학적 고찰(2)-韓船用語의 整理 및 解釋 - 박근옹
- ▪︎ 전근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도자기 무역 네트워크-일본 고고학 유적지에 대한 특별 고찰 - 바바라 자이역
- ▪︎ 대섬 해저 인양 靑瓷火爐形香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-청자화로형향로에 대한 보다 진전된 이해를 위하여 - 이희관
- ▪︎ 태안 대섬 해저인양 소형접시의 조형적 특징과 제작양상 - 조은정
- ▪︎ 태안 대섬 출토 음각앵무문∙양각연판문 대접∙접시의 특징과. 제작시기 고찰 - 임진아
- ▪︎ 이순신에 대한 일본인의 연구와 평가 - 김주식
- ▪︎ 고려시대 난파선의 구조와 제작기술의 변천 - 홍순재
- ▪︎ 高麗'⼐'形 瓷器의 出土 現況과 機能 檢討 - 한성욱
- ▪︎ 태안선 목간의 새로운 판독-발굴보고서를 보완하며 - 임경희
- ▪︎ 베트남, 아시아 해상무역로 통래 14세기에서 17세기까지 도자기를 수출하다 - Ngo The Bach
- ▪︎ 원산도 인양 청자향로 연구 - 백은경
- ▪︎ 보령 원산도 출토품의 문양을 통해 본 편년과 제작지 - 한정화
- ▪︎ 원산도 해저출토 고려청자의 과학기술적 특성 고찰 - 정용화, 주선은, 임성태
- ▪︎ 수중발굴 고려선박 구조와 시대구분 고찰 - 김병근
- ▪︎ 영산강 물길의 명칭 변화에 대한 소고 - 변남주
- ▪︎ 비안도 해저 출토 고려 청자의 연구 - 김영원
- ▪︎ 비안도 청자와 부안 - 김현정
- ▪︎ 고려 12세기 靑磁有蓋筒形盞의 조형적 특징과 제작 양상-군산 비안도 해저 인양품을 중심으로 - 김윤정
- ▪︎ 고려시대 漕運制의 海洋史的 의미 - 한정훈
- ▪︎ 완도 해저출토 청자의 특징과 생산시기 - 김애경
- ▪︎ 완도선 인양 철화청자의 특징과 제작시기 - 장남원
- ▪︎ 고려시대 도자기장고 연구-완도해저 출토 청자장고를 중심으로 - 박지영
- ▪︎ 완도 해저출토 고려청자의 산지분석 연구 - 정용화, 임성태
- ▪︎ 원-일본간 교역선의 고려 방문 양산 검토 - 이강한
- ▪︎ 다도해 해양문화유산의 복원과 활용-흑산도 사례 연구 - 곽유석